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S4iY/btscQyjpfIZ/XR6xiaIKb07JMKtDUupES0/img.png)
5월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시작됩니다. 나이부터 재산요건까지 까다로운 조건이 있지만 3년간 10만 원만 내면 1440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 개꿀해자 제도! 신청할 때 유의할 사항 등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꿀팁 - 유의사항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매월 본인적립금을 입금하지 않는 경우 해당 월 근로소득장려금도 적립되지 않습니다.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하기 적립월 1개월 인정기준: 전월 23일(휴일인 경우 익영업일)~현월 22일(휴일인 경우 익영업일), 22일 이후 입금 시 익월 저축으로 처리됩니다. 실직, 본인 및 부양가족의 질병사고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해 가입기간 중 총 6개월간 적립중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적립중지를 미신청한 상태에서 본인적립금 누적 12개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TwAb/btscP9DTefy/5kswDohI6KeiSBNgnQNyY1/img.png)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이 궁금하셨죠? 매월 10만 원만 저축하면 1,440만 원으로 돌려받는 꿀 복지제도! 어떻게 신청하고, 자격조건과 신청기간은 어떻게 되는지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. 목차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접수 및 복지로(www.bokjiro.go.kr)를 통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. 청년내일저축계좌 오프라인 신청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: '23.5.1.(월)~'23.5.26.(금) 신청시작 2주간(5.1~5.12) 출생일 기준 5부제를 적용합니다. 월요일(5월 1,8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1,6 화요일(5월 2,9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2,7 수요일(5월 3,10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3,8 목요일(5월 4,11일) : 출생일 끝자리가 4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cQUV/btscIJ6ixA5/y3kIemDeZsOk4dUO9t5GJ0/img.jpg)
전세를 살고 있는 분들, 전세사기 피해를 당하신 분들 대책 문제로 불안하셨죠? 정부에서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을 위한 특별법이 추진되고 있는데요. 어떤 문제를 해결해 주는지, 혜택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세요 목차 주요 내용-전세사기 피해자 특별법 혜택 확인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특별법의 핵심 요지를 정리하면 아래 2가지로 보입니다. 첫 번째, 해당 주택을 사려는 피해자에게는 우선매수권을 부여합니다. 두 번째, 피해자가 매수는 원치 않고 임대로 살기를 희망한다면 LH가 해당 주택을 매수한 뒤 다시 임대를 주는 방식입니다.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특별법 제정 추진 임차 주택 낙찰 우선매수권 부여 임차 주택 낙찰 관련 세금 감면 낙찰 여력 부족 시 장기 저리 융자 지원 임대로 계속 거주 원할시 한국토지주택공사(LH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i6Zo/btscwMiewV8/gf6IkH8mpPDSev0KrXwiTK/img.png)
2023년부터 소득기준이 완화돼서 대상자가 더 확대되고 지원금액은 더 늘어나는 여러 종류의 정부지원금 제도와 각종 바우처제도 등 복지와 관련된 정책들을 소개해 드릴 건데요. 그중에서 많은 분들에게 해당하고 알아두면 유익한 주요 내용들만 골라봤습니다. 목차 근로장려금 및 자녀장려금 기초연금 국민취업지원제도 기초생활보장제도 및 긴급복지지원금 바우처제도 청년도약계좌 장애인 연금 근로장려금 및 자녀장려금 첫 번째 2023년 바뀌는 정부지원금 내용은 근로장려금인데요. 2022년 세법 개정안을 통해서 2023년부터는 근로장려금 최대 지급액을 올해보다 10% 인상됩니다. 기존 맞벌이 가구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300만 원이 최대였지만 2023년에는 330만 원으로 인상되고, 재산요건은 기존 2억 원 미만에서..